배울학 대 메뉴

소방설비기사

/취업성공/연봉상승/노후준비 기술이 기회다!

QUICK MENU

    • 재수강할인
    • 단체수강할인
    • 자격증 가이드
    • 무이자할부
    • 배울학에 바란다
    • 저작권 보호 캠페인
맨위로
  • 소방 기초용어
  • 소방 기초수학
  •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합격수기

수험정보/합격수기 합격수기
글 정보
제  목 -------------전기산업기사 2회차 합격수기-------------
작성자 손* 작성일자 2017.08.07

안녕하세요. 저는 2회차 전기산업기사 합격한 기계과를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처음에 무슨 강의가 좋을지 계속 찾다찾다 배울학을 찾게 되었습니다.

교수마다 각기 다르지만 보편적으로 다 깔끔하게 가르쳐주셔서 머리에 쏙쏙 들어왔습니다.

저는 강의를 다 보지는 않았어어요.

계속 문제를 풀고 오답정리를 하고 오답정리 한 것들 중 반복되는 것들을 체크해서 한번 더 오답을 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공책 정리한 게  필기5권 실기5권 되더군요. 공책들은 다 너덜너덜해졌구요.

이해를 필요로 하는 회로이론과 시퀀스제어는 강의를 들었습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강의를 참고로 이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문제를 시험장에서 푸는 건 교수님들이 아니라 본인이잖아요.

계속 풀다가 모르는 거를 찝어서 강의를 보는 게 시간이 없는 학생들에게 좋은 방법 같습니다.

매일 등하교 버스에서 오답노트를 보고 공부를 하던 모습들을 떠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 필기 -

1. 전자기학

공식이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목입니다.

우선 이론을 바탕으로 공식을 익히고, 수많은 공식들을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푸는 것에 집중하여 공부를 해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전력공학

전력공학은 생소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강의를 들으면 이해를 빠른 시간안에 할 수 있습니다.

전력공학 역시 이론을 바탕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의를 들으면 용어하나하나 교수님이 설명해주십니다. 머리속에 한번 그리고 이론에 활용하여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3. 전기기기

전기기기는 점수가 나오기가 꽤 어려운 과목이였습니다. 문제도 가장 까다로운 문제가 출제되는 과목이 전기기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러나 전기기기를 혼자끙끙해보다가 강의를 듣고 이해를 팍 했던 순간이 떠오릅니다. 공부를 투자한 만큼 오르는 게 전기기기입니다.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회로이론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과목입니다. 따라서 암기로는 절대로 할 수 없는 과목이기에 

회로이론 파트는 강의를 전부 다 들었습니다. 교수님과 회로 그림을 같이 그리며 문제를 푸니 어려운문제도 나중에는 30초안에 풀 수 있게 되었습니다. 

 

5.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맨 마지막에 공부하라고 많이들 말씀하시는데 저는 똑같이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똑같이 시간을 투자해야 점수를 취득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

이론이 중점인 과목이고, 교수님이 문제하나하나마다 꼬리표를 다는 법칙들이 나오는 게 

이해가 빨랐습니다. 그리고 요점정리가 아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시험보기 3일전 실전동향 모의고사를 통하여 시험의 느낌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울학 실전동향 꼭 한번씩 풀어보십시오.

배울학 실전동향을 합격하시면 거의 합격하시리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회차별로 시험본 것을 메모장에 정리해두었습니다. 저의 점수증가를 알기 위해서이고 부족한 과목을

한 눈에 볼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게 하면 부족한 부분이 뭔지 알 수 있습니다.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16년 1회 전기자기학60 전력공학50 전기기기55 회로이론5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0 평균54

16년 2회 전기자기학70 전력공학60 전기기기45 회로이론4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5 평균55

16년 3회 전기자기학65 전력공학50 전기기기45 회로이론6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35 평균52

10년 3회 전기자기학70 전력공학40 전기기기55 회로이론4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5 평균52

11년 1회 전기자기학60 전력공학80 전기기기65 회로이론5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5 평균63

11년 2회 전기자기학40 전력공학65 전기기기75 회로이론6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70 평균63

12년 3회 전기자기학70 전력공학40 전기기기55 회로이론6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45 평균55

13년 2회 전기자기학60 전력공학75 전기기기70 회로이론7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5 평균67

14년 1회 전기자기학45 전력공학55 전기기기50 회로이론6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65 평균55

14년 2회 전기자기학50 전력공학80 전기기기70 회로이론7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65 평균67

14년 3회 전기자기학55 전력공학75 전기기기70 회로이론5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5 평균62

15년 1회 전기자기학50 전력공학60 전기기기55 회로이론4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60 평균53

15년 2회 전기자기학65 전력공학75 전기기기50 회로이론6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55 평균62

15년 3회 전기자기학55 전력공학35 전기기기30 회로이론5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80 평균50

16년 1회 전기자기학55 전력공학75 전기기기55 회로이론5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45 평균57

16년 2회 전기자기학75 전력공학75 전기기기50 회로이론5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60 평균63

16년 3회 전기자기학60 전력공학45 전기기기60 회로이론8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65 평균62

17년 1회 전기자기학65 전력공학70 전기기기60 회로이론5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75 평균65

사설 1회 전기자기학70 전력공학 60 전기기기 55 회로이론 70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70 평균65(실전동향)

12년 3회 전기자기학85 전력공학60 전기기기90 회로이론75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85 평균79

 

이런식으로 시험본 것을 하나하나 메모장에 정리해두고 부족한 과목을 다시 한번 공부했습니다.

 

실기 -

 

 

1. 단답

책의 두깨가 두껍습니다. 공부해야 할 양이 엄청 많다는 것이죠.

하지만 그 두려움을 깨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의고사를 풀어보는 것이 경향을 알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전력공학에 나오는 부분들이 나오고 필기에서 나왔던 부분들도 꽤 많이 출제됩니다. 그래서 필기공부도 소홀히 하시면 안됩니다. 풀다가 계속 겹치는 부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 부분들은 출제비중이 매우 높은 문제로 꼭 잡고 넘어가야 할 문제들입니다. 이론을 5번정도 정독하시고 문제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수전설비

처음엔 약호나 기호, 이름들이 생소했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문제들이 매우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약호나 기호들이 나올 때 공책 한 권에 정리하여 시간 날 때마다 눈에 익혔습니다. 

 

3. 시퀀스

시퀀스는 이해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과목이므로

강의를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저는 과가 기계과이므로 시퀀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가지고 있어서 조금 더 이해가 빨랐습니다. 시퀀스도 그림을 그리며 한 문제 한문제 해석한다고 생각하시고 접근하시면 아주 큰 도움이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4. 감리

감리 2주일 잡았습니다. 감리는 최근에 나온 경향이므로 공부해서 맞을 확률이 제일 적은 파트입니다.

그렇지만 이론부분같은 경우 문제에 나올만한 것들을 공책에 정리하여 이것만 외우고 가자하고 

시험장에 갔던 게 외운 것이 나왔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들어가기전에 감리파트 보고 가십시오.